buck converter ( 벅컨버터) 동작흐름
벅컨버터의 동작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 벅컨버터 대해 알아보았지만 조금 더 설명이 필요한 부분이 있어 이번 포스팅에서도 벅컨버터의 동작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드리겠습니다.
▶DC-DC 컨버터의 개념도

DC-DC컨버터는 DC 전압 입력을 받아 원하는 DC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입니다.
* Unregulated dc 입력 → regulated dc 출력
* DC-DC 컨버터의 구성
1. switch (MOSFET, IGBT, Diode) : Energy flow control 역할
2. 인덕터, 커패시터 : 에너지 전달 매개체, Low pass filter (ripple 감소)
3. 변압기 : 전압이득 조절, 전기적인 isolation
4. 제어기
▶간략한 형태의 DC-DC 컨버터

▶Buck 컨버터 기본회로와 파형
아래 사진은 벅컨버터의 기본회로와 그에 따른 입출력 파형입니다.

▶듀티비(Duty Ratio)와 전압전달비

▶Buck 컨버터의 실제 회로도 구성


[S_ON] 스위치 ON 일 때 전류 흐름 정리 정리
1.VS=0 : 전선이 도통되어 전압이 걸리지 않는 상태
2.IS=IL : 입력전원에 의해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는 같다(전선이 도통이고 방해하는 소자는 없다)
3.D_OFF : 다이오드 위쪽이 전위차가 더 크기 때문에 흐르지 않는 상태
4. 다이오드 전압은 입력전압과 같고(VD=VI) 다이오드는 개방 상태이므로 다이오드 전류 ID=0 이다
인덕터 전압에 걸리는 전압은 VI-VO 이고 0보다 크다 ( VI > VO )
인덕터 전류는 상승한다. 전기에너지를 자기 에너지로 저장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어 전류는 증가
인덕터의 전력은 0보다 크다 (PL = VL*IL > 0)
EL =
1/2*LI제곱 → 감소
스위치가 ON 일 때 커패시터는 인덕터의 교류 성분만 충전하는 역할

[S_OFF] 스위치가 OFF일 때 전류 흐름
스위치에 걸리는 전압은 VI=VS VI=VS와 같다. 스위치가 개방이므로 스위치 전류는 0이다(IS=0)
다이오드는 ON이 되고 역방향바이어스로 인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다이오드 도통이므로 전압이 걸리지 않고 VD=0이고 다이오드 전류와 인덕터 전류는 같다.(ID=IL)
인덕터에 걸리는 전압은 0-VO 이므로 –VO 이다 ( -VO < 0 )
인덕터 전류는 자기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방출하여 인덕터 전류는 감소하게 된다.
인덕터 전력은 전류가 전압과 전류가 감소하므로0보다 작다 (PL = VL * IL < 0)
EL = 1/2 *LI제곱 → 감소
스위치가 OFF 일 때 커패시터는 충전된 전류를 방전한다.
스위치가 ON 일 때 전류 흐름
인덕터 전류는 전기에너지를 자기 에너지로 저장하여 인덕터 전류는 증가한다.
스위치 전류는 스위치가 ON이 되어 도통이므로 스위치 전류와 인덕터 전류는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 전압은 전선이 도통이므로 전압이 걸리지 않는다.
다이오드는 회로상 위쪽이 전압차가 더 크므로 다이오드 쪽으로 전류는 흐르지 않아 O이고
VI와 다이오는 병렬이므로 병렬은 전압이 일정하므로 VI 전압이 걸린다.
(다이오드 상태는 개방이다.)
스위치 OFF일 때 전류 흐름
인덕터 전류는 자기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방출하므로 인덕터 전류는 감소한다.
스위치 전류는 스위치가 OFF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스위치 전류는 0이다.
스위치 전압은 스위치가 개방 이므로 VI 전압이 걸린다. ( VS = VI )
다이오는 전류는 그래프처럼 감소하는 이유는 인덕터는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하므로 그래프가 감소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다이오드 전압은 전선이 도통이므로 (숏트) 전압이 걸리지 않는다.
이렇게 오늘은 벅컨버터의 스위치가 ON, OFF 일 때 회로의 전류 흐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보디빌더 전력전자 이야기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