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오드6 다이오드 기초2 다이오드 특성에 대한 이해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 다이오드에 대해서 기초적으로 알아보았지만 그전에 도핑에 대하여 알게 되면 다이오드, BJT, Mosfet, 등 스위치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조금 더 수월 하실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통해 도핑과 도펀트, 전기전도도를 간략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반도체는 순수반도체와 불순물 반도체로 나뉘어 지는데, 순수반도체에 불순물을 첨가한 것을 불순물 반도체라고 합니다. 전력전자를 공부한 분들은 들어보셨을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바로 불순물 반도체입니다. 순수반도체에 불순물을 첨가하는 것을 바로 도핑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순수반도체에 어떻게 도핑을 하고 어떤 결과물이 생기는 건지 알아보겠습니다. 불순물 반도체에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있.. 2023. 1. 19. R-L-C 직렬회로 RLC 직렬회로 구성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R-L-C 직렬회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RLC 직렬회로 아래 사진은 RLC 직렬회로를 보여주는데,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된 회로를 말합니다. 아래 그림2는 RLC 소자의 전압, 전류 벡터를 보여주는데 보다시피 각가 전압의 위상이 다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의 전압의 합은 벡터의 합으로 구해야 한다.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전압 위상은 반대이므로 둘 중 큰 값에서 작은값을 빼서 전압값을 구하고 저항에 걸리는 전압값을 더해 합성 전압을 구한다.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과 인덕터에 걸리는 전압의 벡터는 반대 방향이기 때문에 서로 상쇄되는 방향입니다. ▶주파수와 리액턴스 관계 RLC 직렬 회로에서 저항R은 주파수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가지고 .. 2022. 12. 18. boost converter (부스트 컨버터) 부스트 컨버터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 이어 부스트 컨버터를 알아보겠습니다. ▶BOOST Converter : 입력 직류 전압보다 높은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장치(승압 컨버터) 부스트 컨버터는 벅 컨버터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며 회로 구조만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벅컨버터와 부스트 컨버터의 회로 구성도 차이를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벅컨버터는 DC 입력전압을 받아 원하는 DC 출력전압으로 강압하여 출력한다면, 부스트 컨버터는 반대로 DC 입력전압을 받아 원하는 DC 입력전압으로 승압하여 출력합니다. 저는 처음 부스트 컨버터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쉽지 않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했습니다. 공급된 일정 전압을 낮추는 것은 얼핏 보아도 쉬울 것 같지만 입력된 값보다 더 큰 값을 .. 2022. 12. 11. buck converter (벅 컨버터) 안녕하세요 오늘은 벅 컨버터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BUCK Converter (벅컨버터) 강압컨버터 (전압 강압 DC-DC컨버터) 입력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강압 변환 회로 반도체 스위치, 다이오드, LC필터, 저항으로 구성 벅 컨버터 기본회로 구성 Switch ON Switch OFF 소자 역할 ◆다이오드 역할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성질을 가진 소자 (전류를 한쪽으로만 흐르게 하고 반대쪽으로 흐르지 않게 하는것을 정류 작용) 스위치on 스위치 on 상태일때 입력전원에 의해 전류가 공급이 되고 인덕터에 에너지를 저장하면서 부하에 전류 공급(전기에너지를 자기에너지로 저장) 커패시터에는 교류성분만 흘러 충전 다이오드 내부로 전류는 흐르지 않습니다. 다이오드 개방상태가(역.. 2022. 12.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