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위칭3

buck converter ( 벅컨버터) 동작흐름 벅컨버터의 동작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 벅컨버터 대해 알아보았지만 조금 더 설명이 필요한 부분이 있어 이번 포스팅에서도 벅컨버터의 동작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드리겠습니다. ▶DC-DC 컨버터의 개념도 아래 사진은 DC-DC 컨버터의 기본 개념을 알 수 있는 개념도 입니다. DC-DC컨버터는 DC 전압 입력을 받아 원하는 DC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입니다. * Unregulated dc 입력 → regulated dc 출력 * DC-DC 컨버터의 구성 1. switch (MOSFET, IGBT, Diode) : Energy flow control 역할 2. 인덕터, 커패시터 : 에너지 전달 매개체, Low pass filter (ripple 감소) 3. 변압기 : 전압이득 조절, 전기적인 i.. 2022. 12. 19.
buck converter (벅 컨버터) 안녕하세요 오늘은 벅 컨버터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BUCK Converter (벅컨버터) 강압컨버터 (전압 강압 DC-DC컨버터) 입력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강압 변환 회로 반도체 스위치, 다이오드, LC필터, 저항으로 구성 벅 컨버터 기본회로 구성 Switch ON Switch OFF 소자 역할 ◆다이오드 역할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성질을 가진 소자 (전류를 한쪽으로만 흐르게 하고 반대쪽으로 흐르지 않게 하는것을 정류 작용) 스위치on 스위치 on 상태일때 입력전원에 의해 전류가 공급이 되고 인덕터에 에너지를 저장하면서 부하에 전류 공급(전기에너지를 자기에너지로 저장) 커패시터에는 교류성분만 흘러 충전 다이오드 내부로 전류는 흐르지 않습니다. 다이오드 개방상태가(역.. 2022. 12. 10.
스위칭 전원의 기초0 오늘도 보디빌더의 전력전자 이야기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스위칭 배우기전 가장 기본적인 의미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스위칭 전원(Switched- Mode power Supply : SMPS )은 전력용 MOSFET 등 반도체 소자를 스위치로 사용하여 직류 입력 전압을 일단 구형파 형태의 전압으로 변환한 후 LC 2차 저역통과 필터를 통하여 제어된 직류 출력 전압을 얻는 장치이다. 이때 직류 전압의 제어는 스위치의 ON, OFF 기간을 가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스위칭 전원의 동작은 직류(입력)에서 직류(출력)로의 변환(DC-DC Conversion)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므로 스위칭 전원을 DC-DC 컨버터(Converter)라고도 한다. 스위칭 전원의 기본적인 특징을 서술하는 데는 통상 기존의 선형제어 .. 2022. 12. 3.